언리얼엔진4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깅사용과 어설션 언리얼 엔진은 로깅 환경을 위해 UE_LOG라는 매크로를 제공하고 있다. UE_LOG(카테고리, 로깅 수준, 형식 문자열, 인자) 로그를 보려면 출력 로그를 윈도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 에디터 상당의 (창) > (개발자 툴)> (출력 로그) 메뉴를 선택하면 하단에 출력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. 또는 프로젝트의 Saved 폴더 내에 있는 log폴더를 확인하면 된다. 로그의 중요도는 메시지Log, 경고 Warning, 에러 Error 이렇게 세 가지로 나뉘어 있다. 각각 흰색 노란색 붉은색으로 윈도우 표시가 된다. 색상을 바꾸고 싶으면 (편집) > (에디터 개인설정) 왼쪽의 (외형) 섹션에서 로깅 수준에 대한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. 로그 매크로는 다양한 데이터를 하나의 문자열로 조합하도록 C의 prin.. 언리얼엔진4 입문 1. 기본 프로젝트 생성 및 세팅 언리얼 엔진 4를 사용하면서 공부하다가 새로 알게된 내용들을 여기에 정리할 예정입니다. 사용 버전 : 4.19.2 사용 IDE : visual studio 17 언리얼 엔진을 설치하는 방법 1. https://www.unrealengine.com/ko/ 들어가서 다운로드 2. 회원가입 언리얼 프로젝트 설정 1. vs2017설치를 할 떄 c++을 사용한 게임 개발 메뉴를 선택한 다음 unreal engine 장치 관리자 및 unreal engine 에 대한 visual studio android 지원 을 체크 2. 새 프로젝트 할떄 블루프린트, 삼인칭설정후 시작용 컨텐츠 없음으로 설정 후 생성 3. 프로젝트의 파일탐색기의 위치를 알고 싶으면 아래의 콘텐츠에 우클릭 후 탐색기에서 보기 를 클릭하면된다. 새로.. 이전 1 다음